조선신학교 자료 外
자료유형:
파일 보관 / 1) 서울 조선신학교 正統을 사랑하는 학생동지들 성명서(1947.4.18.) / 2) 조선신학원대학 학우회 성명서(1947.4.17.) / 3) 서울기청협 제1호(서울지구기독청년협의회, 1977.6.15.) / 4) 마산노회 회계보고(1959.10.8-1960.10.5), 예산서(1960.10.6.-1961.10.5.) / 5)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수습위원 일동, “전국교회에 알리는 말씀”(1960.1) / 6) 도은배, “지교회 지도자들에게”(1959.11.28.) / 7) “미국북장로교회는 왜 명칭을 변경하였는가?”(1959.3.30.) / 8) “미합중국 연합장로교회 한국선교회 실행부 성명서”(1959.4.17.) / 9) “우리들 미국 남장로교 한국선교회는 이 아래 사항을 널리 알려드리는 바입니다.”(1959.4.17.) / 10) 에큐메니칼활동 제3호(한국기독교연합회)(1964.12.20.) / 11)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통합위원회 결의(기독공보 제521호 부록, 1960.1.27.) / 12) W. A. 비써트 후프트․한국기독교연합회사무국 역, 單一교회와 에큐메니칼운동(한국기독교연합회) / 13) 에큐메니칼-한국기독교연합운동 / 에큐메니칼운동이란 무엇인가(한국기독교연합회, 1958) / 14) 안두화선교사에 관한 선전문에 대한 변론서 / 15) 통합을 반대하는 두령들에게 묻는다(1960.3.8 경북노회 목사 김삼대) / 16) 에큐메니칼 運動反對에 對한 WCC 脫退建議 答辯書 / 17) 한국기독학생회 서울지구고등부 임원수련회 / 남부교회 유년주일학교 / 18) 善隣協同村現況-경기도 광주군 동부면 천현리 / 19) 성경을 존귀히 여긴 개혁교회의 가르침(교인에게 드리는 안내서) 총서 No.1 / 20) 이상근, “에큐메니칼이즘에 對한 私見”, 기독공보 1959.8.10. / “각노회 방침은 이미 확정”, 기독공보 1959.5.25. / 21) 김석찬, 대한예수교장로회의 진로 / 22)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인권위원회 / 우리는 자유인이다-인권주간 예배안내(1974) / 23) 대한YWCA연맹, 「희망」(1984) / 24) 조선신학교학우회, 「임마누엘-조선신학보 제8호」(1949) / 25) 국방부군목실, 「十字旗」 창간호(1952)
There are no comments on this title.